3줄 요약
목차
1. 전기요금 복지할인 제도란?
2. 전기요금 복지할인 감면 대상은?
3. 전기요금 할인 얼마? 혜택 총정리
4. 전기요금 복지할인 신청방법 및 서류
5. 함께 챙기면 좋을 에너지 지원 제도
전기요금 복지할인은 정부와 한전이 함께 시행하는 전기요금 감면 제도입니다.
에너지 비용이 부담되는 가구의 전기요금 일부를 지원하며, 다음과 같은 대상이 해당됩니다.
전기요금 복지할인은 크게 ‘정액 할인’과 ‘정률 할인’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며,
대상자에 따라 할인 방식이 자동 적용됩니다.
이사할 경우, 기존 복지할인은 자동 종료됩니다.
전기요금 할인은 계량기 단위(주소지 기준)로 적용되기 때문에,
새 집으로 이사하면 기존 할인 혜택은 자동으로 해제되고,
새 주소지에서 다시 신청해야 할인 혜택이 유지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경우 정액 할인 조건을 충족한 뒤,
정률 할인 조건까지 만족하면 정액 + 정률 복지할인 중복 적용이 가능합니다.
단, 적용 순서는 정액 할인 먼저 → 그다음 정률 할인 순서로 적용됩니다.
여름철(6월~8월)은 전기 사용량이 급증하는 시기인 만큼,
일부 복지 대상자의 월 할인 한도가 일시적으로 상향 적용됩니다.
대상 | 기타 계절(9~5월) | 여름철(6~8월) |
---|---|---|
장애인 (심한 장애 포함) | 월 16,000원 한도 | 월 20,000원 한도 |
국가유공자 (1~3급) | 월 16,000원 한도 | 월 20,000원 한도 |
독립유공자 (권리이전 유족 포함) | 월 16,000원 한도 | 월 20,000원 한도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 급여) | 월 16,000원 한도 | 월 20,000원 한도 |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교육 급여) | 월 10,000원 한도 | 월 12,000원 한도 |
차상위계층 | 월 8,000원 한도 | 월 10,000원 한도 |
전기요금 복지할인은 신청 방법이 3가지로 나뉘며,
신청한 달부터 바로 감면 혜택이 적용됩니다.
방법 | 상세 안내 |
---|---|
온라인 신청 | 한전ON 앱 또는 한국전력 사이버지점 접속 → 로그인 후 ‘복지할인 신청’ 메뉴에서 간편 신청 가능 |
전화 신청 | 한전 고객센터 123번(지역번호 + 123)으로 전화 → 상담 후 팩스 또는 우편으로 서류 제출 |
방문 신청 | 가까운 한국전력 지사 또는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방문 → 신분 확인 후 현장 접수 가능 |
에너지바우처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 제도로,
전기·도시가스·등유·연탄 등 다양한 에너지원에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바우처)을 지급합니다.
신청방법 :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
*여름·겨울 구분 없이 통합 바우처로 사용 가능하며, 실제 에너지비 절감 효과 큽니다.
우리나라 전기요금은 누진제 구조로, 사용량이 많을수록 요금도 비싸지는 방식입니다.
이에 따라 2025년 7~8월 한시적으로 누진 구간이 완화되어 전기요금 부담이 줄어듭니다.
구분 | 기존 구간 | 완화 후 구간 (2025 여름) |
---|---|---|
1단계 | 0~200kWh | 0~300kWh |
2단계 | 201~400kWh | 301~450kWh |
3단계 | 401kWh~ | 451kWh~ |
*같은 양을 써도 여름엔 요금이 줄어들 수 있으니, 에어컨 사용 부담 줄어듭니다.
고효율 가전을 사면 정부가 돈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2025년 여름부터 선착순으로 시행됩니다.
신청방법 : 으뜸효율.kr (8월부터 신청 가능 예정)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총 11개 품목 해당. 선착순 마감이므로 빠른 신청 필요!
지금까지 전기요금 복지할인을 중심으로,
에너지바우처와 누진제 구간 완화 등
함께 알아두면 좋은 제도들까지 살짝 곁들여 살펴봤습니다.
그중 앞에서 간단히 소개해드린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이번에는 신청 조건과 대상, 환급 금액, 신청 방법까지
조금 더 자세히 확인해볼 수 있도록 정리했어요.
👉 “나도 받을 수 있을까?” 고민 중이라면 꼭 확인해보세요!
1등급 가전 환급 신청방법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조건 확인
댓글
월부Editor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